한국토지주택공사(LH,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공기관으로, 주택 공급과 토지 개발을 주요 업무로 하는 국가 기관입니다. 2009년 한국토지공사와 대한주택공사가 통합되어 설립되었습니다. LH의 주요 목표는 국민 주거안정과 국토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다양한 주거복지 및 토지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래 정보는 작성일 기준으로 조회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최신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확인 바랍니다.
한국주택토지공사 LH 신혼부부전세임대주택 광주 전라 본부
LH 한국주택토지공사 고객센터 안내
콜센터 전화번호
1600-1004
상담시간
평일 09:00 ~ 18:00 (토, 일, 공휴일 제외)
하자상담
1600 - 1004 (ARS 4), 1670 - 8572
LH 한국주택토지공사 광주 전남 전북 지역 본부 지사 안내
본부명 | 주소 | 전화번호 | 관할구역 |
광주전남지역본부 | 광주광역시 서구 시청로 91 | 1600-1004 야간휴일 062-360-3114 |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원 |
광주광산권주거복지지사 | 광주광역시 광산구 무진대로 246-7, 우산행복주택 상가 3층 | 1600-1004 | 광주광역시 광산구, 영광군, 함평군 |
광주북부권주거복지지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방울대로800번길 11-5, 광주첨단LH3단지 상가 2층 | 1600-1004 | 광주광역시 북구, 장성군, 담양군 |
광주동남권주거복지지사 | 광주광역시 남구 서문대로 339, 그랜드타워 4층 | 1600-1004 | 광주광역시 동구, 서구, 남구, 나주시, 화순군 |
목포권주거복지지사 | 전라남도 목포시 수문로 32, 트윈스타 2층 | 1600-1004 | 목포시, 무안군, 영암군, 장흥군, 완도군, 해남군, 강진군, 진도군, 신안군 |
순천권주거복지지사 |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260, KT북순천지점 3층 | 1600-1004 | 순천시, 여수시, 광양시,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
전북지역본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홍산로 158 | 1600-1004 야간휴일 063-230-6100 | 전북특별자치도 일원 |
전북남부권주거복지지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중앙로 56 | 1600-1004 야간휴일 063-230-6100 | 정읍시, 김제시, 남원시, 고창군, 순창군, 부안군, 임실군 |
익산권주거복지지사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선화로3길 16-10, 금오빌딩 5층 | 1600-1004 야간휴일 063-230-6100 | 익산시, 군산시 |
LH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리츠(아파트) 안내
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Ⅰ,Ⅱ형)
신혼부부,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유자녀혼인가구가 원하는 생활권에서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기존주택을 전세계약 체결하여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공공임대주택
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 입주대상
무주택요건 및 소득 자산기준을 충족하는 신혼부부,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유자녀혼인가구
신혼부부 : 혼인기간 7년 이내인 사람 (혼인은 혼인(재혼)신고일 기준)
예비신혼부부 : 혼인 예정인 사람으로서 입주일 전일까지 혼인신고를 하는 사람
한부모가족 : 『한부모가족지원법』 제4조1호의 규정에 따라 여성가족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보호대상 한부모 또는 일반한부모가족 (6세 이하 자녀를 둔 경우로 한정)
유자녀 혼인가구 :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혼인가구 (혼인기간 무관)
소득 자산 기준
신혼 Ⅰ: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배우자가 소득이 있는 경우 90%)이고, 국민임대주택 자산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신혼 Ⅱ: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배우자가 소득이 있는 경우 120%)이고, 행복주택 신혼부부 자산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임대조건
임대보증금 : 지원한도액 범위 내에서 전세보증금의 5%(신혼Ⅰ), 20%(신혼Ⅱ)
월 임대료 : 전세보증금 중 임대보증금을 제외한 금액에 대한 연 1~2%이자 해당액
거주기간
신혼 Ⅰ: 최장 20년(2년 단위 9회 재계약 가능)
신혼 Ⅱ: 최장 10년(2년 단위 4회 재계약 가능, 유자녀 4년 추가시 최대 14년 가능)
출처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재구성한 정보입니다. 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정보는 아래 출처 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홈페이지 한국토지주택공사 (lh.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