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품리뷰

HACCP 인증 정의 역사 도입 효과

by KnowldegeBot 2020. 6. 19.
반응형

마트에서 제품을 선택하려고 할 때 제품 포장에 적혀 있는 HACCP 안전관리 인증 마크를 한 번씩 보게 됩니다. 뭔지 몰라도 안전관리 관련해서 국가가 인증을 해 준 것 같기도 한데, 매번 궁금증만 갖고 있다가 오늘 구매한 커피에도 HACCP 안전관리 인증 로고가 붙어 있어 어떤 것인지 스터디를 해 봤습니다.

 

 

HACCP 인증 정의 역사 도입 효과

 

HACCP 인증

 

HACCP 정의

 

HACCP은 위해 요소 분석과 중요 관리점의 영문 약자로서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정의입니다.

 

HACCP = 위해요소분석(Hazzar Analysis) + 중요 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 

 

- 위해요소분석: “어떤 위해를 미리 예측하여 그 위해요인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

- 중요  관리점: “반드시 필수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항목”

- HACCP: 위해 방지를 위한 사전 예방적 식품안전관리체계

 

단어를 분리해서 의미를 확인해 보면 이해가 더 잘되는 것 같습니다.

 

즉, HACCP 제도는 식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인들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사전에 위해요인의 발생 여건들을 차단하여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적인 규정입니다.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하면, 식품의 원재료부터 제조, 가공, 보존, 유통, 조리단계를 거쳐 최종 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의 각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해요소를 규명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 관리점을 결정하여 자율적이며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로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과학적인 위생관리체계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식품 안전 관리 체계로 인정받고 있으며, 미국, 일본, 유럽연합, 각종 국제기구(Codex, WHO, FAO) 등에서도 모든 식품에 HACCP 인증 제도를 적용할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HACCP 역사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12월에 축산물처리법령에 HACCP 근거 규정을 신설하여 HACCP가 시작되었습니다.

 

1998년 8월부터는 축산물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 (HACCP)를 고시하고 도축장들은 2000년 7월부터 2003년 6월 말까지 연차적으로 의무 적용이 되었고, 가공장들은 희망업체별로 자율 적용을 시작하였습니다.

 

2004년 1월부터는 기존 적용 대상이었던 도축장, 축산물가공장에 더해 식육포장처리장, 집유장, 축산물보관장, 축산물운반업소, 축산물 판매업소 등으로 그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

 

2005년 1월 부터는 사료공장에 HACCP 인증 시행되었고, 2006년 3월과 2007년 12월에 각각 갈비 가공품, 건조저장 육류 그리고 농장(닭 등)으로 적용 품목이 확대되었습니다.

 

그 후로도 HACCP 관련 법령들은 지속 개선되었으며, 2015년 축산물 안전관리 인증기준 고시 개정을 통해 조사·평가 결과에 따라 HACCP 인증업체를 차등 관리하고, ‘HACCP 지도관’ 제도를 도입하고, 점수제 확대, HACCP 평가표 분리 확대(인증용/사후관리용) 및 개발(유가공품 중 일부), 의무 작업장 보완절차 마련 및 동일 공정 이용 시 변경인증 허용, HACCP 인증 신청 구비서류 보완, HACCP 적용 작업장 우대조치 신설, 생산단계 HACCP심벌 통일, 식품 및 축산물 안전관리 인증기준 고시 제정, 동일 공정 유사 유형 인증 변경 허용, 유사 식품, 축산물에 대한 사후관리 일원화, 식품제조가공업과 축산물가공업 평가표 단일화 등의 제도 보완이 마지막으로 적용되었습니다.

 

 

HACCP 인증 도입 효과

 

업체에서 HACCP 인증 제도를 도입하면 체계적인 위생관리 체계 구축,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의 제조, 위생관리의 효율성 도모, 집중적인 위생관리, 회사의 이미지 제고와 신뢰성 향상 등의 도입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국민들이 먹는 음식에 대해서 국가 제도가 이렇게 시작된 지가 어언 25년이 되었는데 HACCP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다는 것이 아쉽습니다. 미리 알았으면 HACCP 시스템을 통해 생산된 제품은 안전성을 최대한 보장하였고, 구매 시 HACCP 인증 마크를 보고 훨씬 더 안심되는 먹거리 제품을 구매해서 먹었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 먹거리 구매 시에는 꼭 HACCP 인증 마크를 확인해야겠습니다.

 

 

출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https://www.haccp.or.kr/

반응형